강원도 산불은 국가재난사태로 선포될 만큼 역대급 화재이다. 재난 사태가 선포된 지역만도 고성·속초·강릉·동해·인제 일원 등 광범위하다. 산불은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한 주유소 맞은편 도로의 전깃줄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전 쪽은 “개폐기와 연결된 전깃줄에 이물질이 날아와 불꽃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렇게 봄철이 되면 전국의 어느 산이든 산불에 취약하지만 그 중에서도 강원도 동해안 지역은 유독 산불이 잘 나는 산불 취약 지역이기도 하다. 이는 지형적 영향도 무시할 수 없는데, 한반도 남쪽에 고기압이 배치되고 북쪽에 저기압이 배치될 때 생기는 편서풍이라 불리는 기상 현상이 산불 의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 엄청난 피해를 입혔던 산불은 대부분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 일어났다. 1996년에는 고성군 일대의 산림 3,834헥타르를 태운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산불이 난 적이 있다. 20년이 지난 지금도 흔적이 남아있다. 2000년에는강원도 고성군,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1996년 고성 산불을 능가하는 초특대형 산불이 일어났다. 

동해안 산불이 재난 사태로 퍼지자, 강원도내 다른 시 들도 산불 예방에 집중하고 있다. 춘천시는 산불 방지 특별 대책을 수립하고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하고 있으며, 시청 공무원들이 부서별 조를 편성해 산불에 취약한 지역에서 현장 근무를 한다. 강원도 자치단체들은 보일러를 사용하는 가구에 산불 예방 협조 문자를 보내고, 마을 방송을 통해 농산물 쓰레기 소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화재는 진화보다 예방이 더 중요하므로 취약지역을 확대해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주요 문화재 주변 산림을 비롯해 등산로 주변에 추가적 관리가 필요하다. 산불이 동시다발적이며 시기에 관계없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 속에서 산불 위험지 등급에 따른 산불 예방대책을 수립하고, 산불자원의 효율적인 배분과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 산림공무원으로 구성된 조를 편성하고, 공원묘지와 등산로에 배치해 단속을 강화하고 산림소각행위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 산불은 아무리 조심하고 예방해도 단 한 번의 실수로 숲이 한순간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숲을 온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산불예방에 대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는 산불 예방에 필수적이다.

skjaehee@naver.com

저작권자 © 한국도시환경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