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곧 50을 바라보는 40대 후반의 P팀장은 오늘도 야근을 했다. 늘 늦은 시간까지 업무에 시달리다 보니 커피나 홍차 등 카페인 음료를 달고 사는데, 오늘도 대여섯 잔의 커피를 마셨다.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 업무에 집중하기도 힘들고 몰려드는 피로감을 떨칠 수가 없기 때문이다. 퇴근 후 집에 와서 옷을 갈아입는데 셔츠 단추를 푸는 손이 떨렸다. 언젠가부터 나타나는 손 떨림 증상이다. 물을 따르거나 숟가락질을 할 때도 손 떨림이 있다. 피곤해서 그러려니, 카페인 섭취량이 너무 많아서 그러려니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왔다. 하지만 어머니가 파킨슨 치매로 돌아가신 것을 생각하니 그냥 넘어갈 문제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에 걱정이 되기 시작했다.

P팀장이 겪고 있는 손 떨림은 커피의 과다 복용, 스트레스로 인한 교감신경의 과흥분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생리적인 떨림이지만 지속되면 본태성진전과 같은 수전증이 될 수도 있다.

파킨슨병은 주로 예순이 넘어서 발생이 증가하지만 이전에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진단 받기 수년 전부터 서서히 가벼운 증상들이 하나둘씩 생기기 시작한다. 처음 시작할 때는 증상이 특징적이거나 뚜렷하지 않아 파킨슨병이 시작되는 것을 알기 어렵다. 쉽게 피곤해지고 몸에 힘이 없고 팔다리, 허리가 아프거나 불편하고 기분이 쉽게 상하고 화를 잘 내거나 우울해지거나 얼굴 표정이 없고 굳어 화난 사람처럼 보이기도 한다.

또 손발이 떨리고 몸이 굳으며 행동이 느리고 말소리가 잘 안 나오며 걸음걸이가 이상해지기도 한다. 식은땀을 흘리거나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 참기 힘들거나 변비가 심하게 생기거나 행동이 굼뜨거나 걸음걸이가 느리거나 팔의 움직임이 줄어들거나 발을 끌며 걷거나 하는 증상들이 생기면서 점점 심해질 수 있다.

파킨슨병 환자들은 흔히 주위 사람들로부터 행동이 굼뜨다, 느리다, 모자라다, 멍하다, 힘이 없다는 지적을 받는다. 어깨나 등이 짓눌리면서 아프고, 온몸이 굳어 불쾌감이나 통증이 잘 일어나며,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근육이 경직되어 자꾸 넘어져 다치기도 한다. 신경퇴행성 질환 중 하나여서 비교적 노인들에게서 발생하는 질병이지만, 간혹 젊은 나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뇌질환이다.

P팀장에게는 이런 증상이 아직 없으므로 파킨슨병이 오고 있다고 단정 지을 근거는 없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생활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언젠가는 어머니처럼 파킨슨병이 오고, 시간이 더 지난 후에는 파킨슨 치매가 될 가능성도 있다. 흔히 파킨슨병과 파킨슨증후군을 같은 것으로 혼동하는데, 비슷하지만 다른 병이다.

파킨슨 증상을 일으키는 병의 90퍼센트는 파킨슨병이다. 나머지 약 10퍼센트는 약물이나 혈관성(주로 백질에 작은 경색이 누적된 경우) 또는 루이바디 치매, 진행성핵상마비, 다계통위축, 피질기저핵변성 등과 같은 병으로 파킨슨 증상을 보이는데, 이를 파킨슨증후군이라 한다. 파킨슨병은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서 생기는 데 비해 파킨슨증후군은 도파민이 작용하는 세포가 손상되어 발생하고 치료해도 효과가 적으며 진행도 빨리된다.

파킨슨병은 알파시누클레인이라는 단백질이 뇌세포에 쌓여 루이소체를 만들고, 평균 8년쯤 지나면 파킨슨 치매가 된다. 이렇게 파킨슨병이 먼저 오고 나서 나중에 치매가 오는 경우와 달리 치매가 먼저 오고 파킨슨병이 생기는 치매를 루이바디 치매라고 한다. 두 경우 다 증상의 기복이 심하고 환시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파킨슨병은 나이가 들수록, 여자보다 남자에게, 가족력이 있는 경우, 제초제에 노출될 경우,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경우, 엽산이 부족한 경우, 머리를 자주 다치는 경우에 발생률이 높아진다. 더구나 요즘 유통되는 커피 종류가 워낙 다양한데, 전통 방식으로 재배한 것이 아니라 혹시 제초제를 비롯한 화학농법으로 재배한 커피라면 장기간 과다하게 마시는 것이 몸에 해로울 수 있다. 좋은 농법으로 재배한 좋은 커피라도 적당하게 마시면 파킨슨병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너무 많이 마시면 오히려 파킨슨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너무 많이 마시는 것은 좋지 않다.

 

저작권자 © 한국도시환경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